본문 바로가기
[일상 생활]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MLB 투구 구종 분류 시스템

by 태양 아래 걷기 2022. 6. 10.
반응형

미국 야구장에 가서 느꼈던 신기한 점 중 하나는 투수가 피칭할 때마다 실시간으로 구종이 전광판에 나타나는 점이었다.  투구 속도와 함께 구종도 나온다. TV 중계에서 해설자가 판단한 구종을 듣기는 했어도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모습은 새로웠다.

 

실시간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사람의 판단은 관여하지 않는 것처럼 보였다. 요즘은 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머신러닝이 많기 때문에 그런 기술이 사용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 

https://technology.mlblogs.com/mlb-pitch-classification-64a1e32ee079

예상대로 머신러닝 기법이 이용되고 있었다. 인공신경망 (Neural Network) 방식이 이용된다. 기존에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train data로 이용하여 모델을 구축하여 적용하는 것이다. MLB에서 특허를 가지고 있는 시스템이다. 간단한 설명도 있어서 추후에 시간을 가지고 읽어볼 예정이다.

 

이외에도 스트라이크, 볼 판정 시스템에 대한 내용도 있다.

https://technology.mlblogs.com/

 

MLB Technology Blog

The latest from MLB’s Technology Organization.

technology.mlblogs.com

 

MLB는 다양한 데이터를 구축하고 있으며 선수의 활약을 수치화하는 지표가 많다. 이전까지는 이러한 지표로 단순히 선수를 평가하는 데에 그쳤다면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하면 팀 승리 예측 등과 같이 적용할 주제가 많을 것이다. NBA 같은 경우 따로 데이터분석팀이 존재한다. 개별 팀에 있는 데이터 분석팀이 아니고 NBA에서 직접 고용한다. 예를 들어, 경기 스트리밍 서비스 시 경기시간별 시청률을 판단하는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최근 Data Scientist, Data Analyst 등 데이터 관련 업무를 할 수 있는 인력이 인기가 많은 이유를 확인할 수 있었다. 흥미있는 부분부터 관심을 가지고 공부를 해봐야겠다.

반응형

댓글